주 메뉴 바로가기 왼쪽 메뉴 바로가기 본문 내용 바로가기



자료실 · 소식

  • 공지 사항
  • 연구소 동정
  • 언론 동향
  • 사진 자료
  • 기타

T.053)850-4263 / F.053)850-4265

현재위치

자료실 · 소식 언론 동향

언론 동향

제목
[레디앙] 이주여성의 눈으로 본 한국 다문화 사회의 현실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3.08.30 09:44:51
조회수
247
내용

이주여성의 눈으로 본

 

한국 다문화 사회의 현실

 

[신간]『차별 없는 세상을 향한 외침 안 An(원옥금(응웬 응옥 깜)/ 가연)

 

원옥금(응웬 응옥 깜)이 우리 모두에게 발송한 동행의 초대장


이 책의 이야기는 베트남의 어느 작은 마을에서 시작한다.

 

들판으로 소를 몰고 다니던 새까만 얼굴, 마른 몸에 키만 훌쩍 큰 어린 여자아이, 새하얀 아오자이 교복을 입고 낡은 자전거를 타고 친구들과 재잘거리며 학교에 다니던 여학생에게 어느 날 국영 건설회사에서 영어통역을 하다 만난 한국인 남성이 새로운 인생으로 다가왔고, KOREA에서의 삶은 그렇게 설렘과 희망으로 시작되었다. 하지만 쉽게 좁혀지지 않은 문화의 간극은 홀로 감내하기 어려웠고 이방인을 대하는 사람들의 시선은 의외로 차가웠다. 자신과의 처절한 싸움이 예상되는 상황이었지만 곁에서 살며시 손 내밀어주는 동행들이 있었기에 스스로 강해지며 안정적으로 자리 잡을 수 있었다. 이제는 그녀가 먼저 결혼이주여성과 이주노동자들에게 손을 내밀며 든든한 동행의 역할을 자임하고 있다.

 

이 책은 한 개인의 자전적 에세이도 아니고 이주여성의 분노를 담은 사회고발서도 아니다.

 

우리가 미처 모르고 있는아니 알면서도 짐짓 외면해온 대한민국의 그늘진 모습을 공유하고 따뜻하게 감싸 안으며 더불어 함께 하려는 간절한 바람을 담고 있다. 한 개인의 삶은 때로 그 시대를 반영하고 그 사회의 가치를 형성한다. 원옥금(응웬 응옥 깜)씨는 자신의 이야기를 통하여 우리에게 말하고 있다. 다문화는 이제 우리의 문화이며, 결혼이주여성 역시 대한민국의 여성이자 어머니라는 것을, 그리고 이주노동자는 대한민국 경제를 밑받침하고 있는 소중한 동료라는 것을 말하고 있다. 또한 누구의 아이든 모두가 동등한 우리의 아이들이기에 차별 없는 세상으로 향하는 발걸음에 다 같이 동행해주기를 염원하고 있다.



차별 없는 세상을 향한 외침, AN

 

편안할 안(), 베트남어와 한국어로 같은 말이다그 사실을 알게 되었을 때 저자는 작은 흥분을 느꼈다고 한다. ‘안녕’/‘AN NINH(안 닌)’, ‘안전’/‘AN TOAN(안 또안)’, ‘안락’/‘AN LC(안 락)’, ‘평안’/‘BINH AN(빈 안)’, 베트남어와 한국어 둘 다 따듯하고 다정한 느낌의 같은 말들이다. 그러나 대한민국에서 이주민의 현실은 늘 어딘가 불안하다. 이곳에 아무리 오래 살아도 그렇다. 주위에 좋은 사람들만 있어도 마찬가지다. 아무 탈이 없는 삶을 바라지만 결코 이룰 수 없는 꿈을 꾸는 것 같은 답답함이 가슴을 누른다. 저자 역시 그랬다. 아니 지금도 그렇다. 용기를 내어 사람들 속으로 들어가고, 아무렇지 않은 것처럼 말하고 행동해도 마음 한구석 불안을 모두 지울 수는 없다. 그래서 더욱 안()이라는 글자에 매달린다. 저자는 한국에서 살고 있는 모든 이주민이 안녕하고 안전하고 안락했으면 좋겠다고 한다. 그리고 한국에서 사는 모든 사람이 다 평안하고 이주민과 평등하게 잘 어울려 살아갔으면 좋겠다는 바람으로 오늘도 마음속에서 외친다. An이라고

 

An에 화답하고, An을 위한 동행의 첫걸음

 

한국 주민의 4%를 차지하는 이주민에 대하여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타자의 목소리를 경청하고 얼굴을 마주해야 우리 안에 그가 들어올 수 있다. 우리 또한 이러한 조우를 통해서만 성찰적 존재로 변할 수 있다. 지금까지 이주민과 이주 현장에 대한 기록은 선주민에 의해 쓰여졌다. 그런데 이주여성의 눈으로 본 한국 사회와 이주 현장은 선주민의 기록과 닮으면서도 다르다. 이 책은 국제결혼이 많지 않던 시기에 베트남에서 이주하여 한국 사회를 살아낸 한 개인의 분투기이자 이주민 인권 현장에 뛰어든 활동가의 기록이다. 다문화가족을 중심으로 상상된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한국 사회의 시선이 얼마나 납작하고 협소한지를 생각하게 한다.

 

또한 이 책은 우리가  An에 화답하고, An을 위한 동행의 첫걸음을 제시하고 있다아름답고 진솔한 저자의 글에서 우리는 함께 웃고, 분노하며, 이주민의 삶에 다가설 수 있다. “감당하기 힘들 정도로 폭발한 그리움에 져버렸다라는 향수에서, 내 아이들로부터엄마, 사랑해!(M ơi! con thương m lm! 메어이, 꼰 트엉 멜람!)”라는 말을 모국어로 듣고 싶었다는 고백에서, 이주노동자를 괴롭히는 사업주 때문에 하루에 몇 번이나 분노가 솟아오르고 어떨 때는 도움이 되어 주지 못해 절망에 빠진다는 자책에서 우리는 결혼이주민이며 이주노동 활동가인 저자에 공감하며 공존의 방법론을 찾아 나가야 한다. 늦었지만 이제라도 우리 모두 이 동행에 기꺼이 참여하여한국에서 살고 있는 모든 이주민이 안녕하고, 안전하고, 안락했으면 좋겠다라는 그의 염원이 곧 이뤄지길 바란다.

 

 

출처: 레디앙(http://www.redian.org/archive/173418)
 목록 
다음글
[매일신문] 국회미래연 “노동·출산 제공 도구로 보는 외국인 정책 유효하..
이전글
[경북일보] 유철균 경북연구원장 “저출산·인구·대학 소멸 위기···지방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