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학생, 공교육 편입땐 교사들도 '혼란'…매뉴얼 필요
등록일:2016-08-03
[다문화학생 20만명 눈앞]②시험문제, 다국어로 출제·사전 허용해야…"日, 학생 능력 발휘하도록 지원"
출처 : 한국과 일본의 다문화가정 학생을 위한 학교교육 지원 비교, 박순덕 외
#다문화학생이 밀집해 있는 A초등학교 교사 김모씨는 '가정통신문' 배포를 두고 걱정이 앞선다. 가정통신문을 배포하고 나면 으레 다문화학생 학부모들의 전화가 빗발치기 때문이다. 심지어 교사가 알아듣지 못할 걸 알면서도 중국어로 막말을 쏟아내고 전화를 끊어버리는 학부모도 있다. A교사는 "부모 사인을 급히 받아야 하는 통신문을 한 달만에 받기도 했다"면서 "교과 및 생활지도뿐만 아니라 업무상 어려운 부분도 너무나 많다"고 토로했다.
우리나라의 다문화학생 교육정책이 한국어 습득 및 한국문화 적응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는 등 '자국민 중심'으로 치우쳐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행사 안내뿐만 아니라 과제 제출에도 통역을 지원하고 시험도 다국적 언어로 출제하는 등 다문화학생 각자가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이른바 '역발상' 지원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1일 교육부에 따르면 연령별로 영유아 대상 다문화 유치원, 초중고교생 대상 다문화 예비학교 및 연구학교, 예비 대학생 대상 글로벌 브릿지 사업 등의 교육과정이 마련돼 있다. 한국어를 전혀 모르는 중도입국 학생이 입학하는 예비학교(초·중·고교)는 약 100개교로, 한국어와 한국문화 적응 프로그램을 집중적으로 제공한다.
문제는 6개월~1년과정의 예비학교 과정이 끝나면 다문화학생들도 일반 공교육 과정으로 편입된다는 점이다. 교사와 학교 관리자 등의 역할이 중요한 시점이지만 다문화학생 교과 및 생활지도에 대해 '이렇다 할' 매뉴얼이 없는 상황이다.
경기도 소재 B초등학교 교사 박모씨는 "방과후 아이들에게 한글을 가르치는 이중언어 강사에게 매번 도와달라고 할 수도 없는 노릇 아니냐"면서 "소통 자체가 힘드니 생활지도는 말할 것도 없다"고 말했다.
이중언어 강사도 지난해 기준,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에 476명이 등록돼 있는 것이 전부다. 하지만 이마저도 수시로 그만두거나 새로 들어오는 등 효율성 문제가 국감에서 지적됐다.
상황이 이렇자 학업을 그만 두는 다문화학생도 늘어나고 있다. 지난 2013년에는 5만5780명의 초·중·고교 다문화학생 가운데 572명이, 2014년에는 6만7806명 가운데 688명의 학생이 학업을 중단했다.
반면 일본은 '외국인 학생 입학 안내서(교사용 매뉴얼)'를 교사와 학교 관리자, 교육청 관계자들에게 배포해 교사 및 관리자의 역할을 구체적으로 명시하고 있다. 또 시험 문제를 다국어로 제출하고 모국어 사전을 허용한다. 이중언어 지원도 강사가 아닌 모어로 소통 가능한 교사를 파견한다.
일본은 1989년 본격적으로 외국인 자녀의 교육에 관한 정책을 수립하기 시작했다. 1991년 한일(韓日)각서에는 모어·모문화 교육의 공인, 취학안내서 발급, 교육 공무원 임용시 국적조항 철폐 등을 인정하는 내용이 담겼다.
국내 다문화교육 박사 1호인 박순덕 경기 은계초 수석교사는 "다문화학생을 도와줘야 할 대상, 배려해야 할 대상으로 보는게 가장 큰 문제"라며 "우리와 함께 살아갈 공동체로 인식하고 교육정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밝혔다.
<!-- 2015-09-01 ssi 관련기사 -->
이미호기자 best@mt.co.kr
<!-- 2015-09-01 ssi 관련기사 End --><!-- 기자프로필 --><!-- the300기사는 the300으로 링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