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메뉴 바로가기 왼쪽 메뉴 바로가기 본문 내용 바로가기



자료실 · 소식

  • 공지 사항
  • 연구소 동정
  • 언론 동향
  • 사진 자료
  • 기타

T.053)850-4263 / F.053)850-4265

현재위치

자료실 · 소식 언론 동향

언론 동향

제목
[동아일보]"다문화 학생들은 성장의 동반자… 공존의 열린 사회로”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6.06.22 09:30:19
조회수
5328
내용

"다문화 학생들은 성장의 동반자… 공존의 열린 사회로”

등록일:2016-06-22

 

탈출!인구절벽/2부]<5·끝> 문화 소통-교육으로 경제 중심부에 서게 해야

 
16일 서울 영등포구 대동초등학교 대동어울림교육센터. 1, 2학년 학생 8명이 ‘ㅊ’이 들어간 한글을 배우고 있었다. 교사가 ‘차’라고 적힌 카드를 손에 들자 아이들은 큰 소리로 “차”라고 외쳤다. 중국계 다문화 인구 밀집 지역이라 이 학교의 다문화 학생 비율은 전교생의 50%를 넘는다. 그중에서도 중도 입국한 다문화 학생을 위한 수업 현장이다.

일반적으로 1학년 1학기면 자신의 생각을 문장으로 쓰는 단계까지 배우는 것과 비교하면 진도가 늦은 편이다. 인민지 대동초 수업연구부장은 “중도 입국 다문화 학생은 이제 막 한국어를 배우기 시작해 정규 교육과정 대신 따로 한국어 수업을 실시하고 있다”며 “1년 정도 특화된 교육을 받고 나면 의사소통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한국 사회는 출산율 저하로 학령인구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지만 다문화 학생은 꾸준히 늘어나면서 적절한 교육을 통해 이들을 우리 사회의 한 축으로 성장시키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됐다.  

"한국 학생 교육도 중요"
21일 교육부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으로 초·중·고교의 다문화 학생은 8만2536명으로 전체 학생(609만7297명)의 1.35%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학생의 비중은 2011년 0.55%에서 매년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특히 다문화 가정의 자녀 중 6세 미만 미취학 아동이 12만 명에 달해 앞으로 다문화 학생의 비중은 대폭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다문화 학생이 급격히 늘어나면서 이 학생들을 한국 사회에 적응시키는 데 교육 정책의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 특히 학업이나 정보에 대한 접근, 문화에 대한 이해와 소통에 한국어가 필수적이기 때문에 언어 교육이 중점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한국어가 서툰 중도 입국 다문화 학생을 위해 한국어를 집중적으로 교육하는 ‘예비학교’도 운영되고 있다. 이곳에서는 다문화 학생이 별도의 학급으로 편성돼 한국어를 배우고, 예체능 등은 일반 학급에서 공부한다. 또 다문화 학생이 용어의 뜻을 정확하게 이해하는 수준의 한국어 능력이 필요한 국어 사회 과학 등을 어려워한다는 점을 감안해 주요 개념과 어휘를 설명하는 보조 교재를 개발했다. 다문화 학생이 많은 학교에는 이중 언어 강사가 배치돼 학생이 이해가 쉬운 언어로 개념을 설명하는 등 일대일로 학업을 도와주기도 한다. 

한국어 교육 등 다문화 학생을 대상으로 한 교육은 상당한 성과를 내고 있지만 이들을 우리 사회의 한 축으로 성장시키기 위해서는 비(非)다문화 학생을 대상으로 한 교육과 정책이 동시에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민병곤 서울대 국어교육과 교수는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이 어울려 살 때 다른 문화에 대한 배척과 차별 때문에 갈등이 생기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서로 열린 마음을 갖고 이해하며 소통하는 게 중요하다”며 “하지만 아직까지는 타 문화에 대한 이해·소통을 위한 교육은 학교 현장에서 자리 잡고 있지 못하다”고 말했다. 차윤경 한양대 교육학과 교수는 “다문화 학생들이 한국 사회에서 배척되거나 주변부로 밀려나는 상황을 묵과하면 한국의 미래는 어둡다”며 “한국 사회의 모든 구성원이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 “우수 인재 받아들여 인구 절벽 대응” 
다문화 학생을 사회의 한 축으로 성장시키는 것 못지않게 외국의 우수한 인재를 받아들이는 것도 핵심 생산인구 감소에 대응하는 중요한 방법이라는 시각이 적잖다. 우수 인력이 많이 들어오면 경제의 성장 동력과 기술 발전의 토대를 확충할 수 있고, 이들의 구매력으로 내수시장도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2004년부터 고용허가제를 통해 외국인 인력을 받아들이고 있다. 고용허가제는 외국인 근로자의 노동 환경을 개선하고 80%에 달했던 불법 체류율을 11.3%(2015년 기준)로 낮추는 등의 성과를 거뒀다. 하지만 국내에 들어와 있는 외국인 전문 인력은 약 5만 명으로 약 50만 명 수준인 비전문 인력의 10%에 불과하다. 이처럼 단순 노무 근로자들만 받아들이다 보니 국내 산업과 시너지 효과가 나기 힘들고, 정부의 외국인 근로자 정책도 비전문 인력에 초점이 맞춰져 있을 수밖에 없었다. 

 

특히 청년 실업이 심각해지면서 “외국인들이 국내 일자리를 잠식한다”는 비판이 점점 커지고 있다. 여기에 고급 기술과 지식을 갖춘 외국인까지 더 들어온다면 국내 근로자의 반발이 심해질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이 때문에 청년 등 내국인 노동시장을 보호하면서도 외국의 숙련 기술인들을 적절히 유치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이규용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외국인 인력 정책은 노동시장의 부족한 부분을 채운다는 ‘보완성 원칙’이 중요하다”며 “우수한 해외 인재는 적극 유치하더라도 청년 일자리와 상충되는 인력들은 인력 부족 상황, 임금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유덕영 기자 firedy@donga.com·유성열 기자
 목록 
다음글
[문화일보]이주민 2세 ‘法·교육 사각지대’… “미등록 아동 1만여명”
이전글
[문화일보]"자국민의 다문화 이해도 높이면 갈등 발생여지 줄여 통합에 기..